새희망홀씨2 활용한 저연봉 직장인 통대환 성공 후기

새희망홀씨2 상품을 통해 고금리 다중채무를 통합하고, 신용점수를 크게 개선한 저연봉 직장인의 대환 성공 사례를 소개합니다. 상담부터 승인까지의 전 과정을 자세히 확인해보세요.
금융닥터's avatar
Apr 25, 2025
새희망홀씨2 활용한 저연봉 직장인 통대환 성공 후기

1. 새희망홀씨2란?

새희망홀씨2는 은행 자체 자금으로 운영되는 저신용·저소득층 대상 신용대출 상품입니다.
연 소득 4,000만 원 이하 또는 4~5천만 원 중 하위 20% 신용자에게 제공되며, 은행이 자체 심사하여 실행합니다.

2023년 기준 약 10조 7천억 원 규모의 서민금융 자금 중 일부가 해당 상품으로 공급되었습니다.
은행권 대환이 어려운 고객에게 매우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2. 사례자 상황과 상담 계기

상담을 요청해주신 고객님은 95년생 사회초년생으로, 중소기업에 재직 중이었습니다. 재직 기간은 1년 정도였고, 연 소득은 약 3,120만 원으로 확인됐습니다.

직장 생활 초기부터 저축은행을 통해 첫 대출을 받으셨고, 이후 자금이 부족해 2금융권 햇살론도 이용하게 되셨다고 합니다.
하지만 반복되는 대출로 인해 점차 신용점수가 낮아졌고, 은행권 대환은 물론 추가 대출까지 거절당하는 상황에 놓이셨습니다.

그러다 급한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햇살론15 최저 특례상품까지 진행하시게 됐고, 그로 인해 월 상환 부담이 높아지고, 채무도 여러 곳에 분산되어 매달 관리에 상당한 스트레스를 느끼셨다고 합니다.

“카드 사용까지 겹치면서 신용점수 관리가 되지 않아 막막했어요”

이런 상황에서 저희를 찾아주셨고, 상담을 통해 새희망홀씨2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게 되었습니다.


3. 상담 이후 신용점수 관리 과정

처음 상담 시점에서 확인된 채무 총액은 약 2,605만 원, 월 납입금은 약 83만 원이었습니다.

  • 진행 전 신용점수:

    • 나이스 753점

    • 올크레딧 621점

우선 고객님과 상의 후, 카드 잔액까지 포함해 기존 채무 전액을 정리해드렸습니다.
이 과정은 11월 9일에 진행되었으며, 이후 신용점수가 바로 반영되었습니다.

11월 13일에는

  • 나이스 888점

  • 올크레딧 752점으로 상승한 것이 확인됐습니다.

하지만 예상했던 대로 11월 15일에 카드 사용 잔액이 다시 반영되며 올크레딧 점수가 746점으로 다시 하락하게 됩니다.
고객님께는 12월까지 절대 카드 사용을 삼가실 것을 안내드렸고, 정기 반영일인 12월 15일에는 798점까지 다시 상승하였습니다.


4. 새희망홀씨2 승인 조건과 결과

점수가 회복된 이후, 저희는 연말에는 지점 대출 상품 심사가 보수적으로 진행된다는 점을 알려드리고 무리하게 바로 진행하지 않고 연초 방문을 안내드렸습니다.

2024년 1월 10일, 고객님은 직접 은행 지점을 방문하셔서 새희망홀씨2와 일반 직장인 상품을 동시에 신청하셨습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승인이 나왔습니다:

  • 새희망홀씨2:

    • 대출금액: 3,300만 원

    • 고정금리 8.22%

    • 60개월 원리금 균등상환

직장인 상품도 별도로 제안받으셨지만, 금리가 소폭 낮은 대신 한도 부족과 추가 심사가 발생하는 상황이었고, 최종적으로 한 건으로 통합 가능한 새희망홀씨2 상품으로 결정하셨습니다.


5. 고객의 변화된 상황

상품 실행 후 고객님의 신용점수는 다시 한 번 크게 상승했습니다.

  • 나이스: 839점

  • 올크레딧: 766점

기존 6건의 채무가 은행 1건으로 정리되면서 관리도 훨씬 간편해졌고, 월 납입금도 약 16만 원 정도 절감되었습니다.
또한, 부족했던 자금도 여유자금 400만 원으로 확보하게 되어 실질적인 도움이 되었던 사례였습니다.


6. 전문가 조언 및 마무리

이번 사례는 단순히 상품만 진행한 것이 아닌, 고객님의 신용점수 흐름을 분석하고 카드 사용 패턴을 교정한 결과 성공한 케이스였습니다.

무리한 대환이 아닌, 점수를 끌어올린 후 시기를 잡아 승인 확률이 높은 시점에 실행한 전략도 중요했습니다.

비슷한 상황에 처해 계신 분들이라면, 성급하게 신청하기보다는 먼저 본인의 신용상태와 구조를 분석해보시는 걸 권해드립니다.

Sha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