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희망홀씨대출 포함 13건 채무 하나로 정리한 사례

외감법인 재직 여성근로자가 고금리 다중채무로 어려움을 겪던 중, 직장인 통대환 컨설팅을 통해 은행권 및 저금리 상품으로 전액 통합에 성공한 실제 사례입니다. 신용점수 회복과 월 납입금 절감까지 생생한 후기를 확인해보세요.
금융닥터's avatar
Jul 14, 2025
새희망홀씨대출 포함 13건 채무 하나로 정리한 사례

요즘처럼 물가는 오르는데 소득은 제자리일 때 고금리 다중채무를 안고 사는 일은 정말 숨 막히는 현실이 됩니다. 특히, 한 번 잘못 시작된 채무가 2금융권과 저축은행, 캐피탈까지 번지게 되면 “나는 이제 끝인가…” 싶은 마음이 들기도 하죠.

오늘 소개드릴 사례는 외감법인에 5년 이상 재직 중인 여성 근로자 고객님께서
무려 13건의 채무와 높은 금리에 시달리다
통대환 컨설팅을 통해 전액 저금리 통합에 성공한 이야기입니다.


1️⃣ 상담 배경 – 처음은 은행권, 끝은 고금리 다중채무

고객님은 처음 대출을 외국계 은행의 새희망홀씨 상품(금리 12.71%)으로 받으셨습니다. 당시 소득 수준에 맞는 한도를 이미 채운 상태였고 이후 자금이 필요할 때마다 2금융권과 저축은행을 이용할 수밖에 없던 상황이었죠. 결국 신용정보를 조회해보니 총 13건의 대출과 그중 장학재단 관련 채무만 4건 외에도 카드로 돌려막기까지 발생 이런 상황에서 조금만 더 늦었다면 연체가 발생될 수 있는 긴박한 상황이었습니다.


2️⃣ 진단 결과 – 부채비율 200%, 다행히 연체는 없음

  • 직군: 외감법인 근무

  • 재직기간: 5년 이상

  • 연소득: 약 3000만원

  • 부채비율: 약 200%

  • 연체이력: 없음

  • 신용활동 기간: 장기

신용거래 이력은 길고 연체가 없다는 점은 긍정적이었지만 학자금 채무 4건, 고금리 다중채무, 부채비율로 인해 신용도는 이미 많이 하락된 상태였습니다. 그래도 채무를 정리하고 카드 관리를 잘한다면 점수 회복은 가능하다고 판단되었고 상세한 설명과 전략 안내 후 최종적으로 고객님께서 동의해 주셨습니다.

3️⃣ 진행 과정 요약

🔹 3/27 – 컨설팅 시작

  • 장학재단 및 은행 소액 제외

  • 총 5300만원 상환 처리

🔹 4/1 – 점수 반영

  • 나이스: 841점

  • 올크레딧: 775점

  • 카드 잔액 제외 상태

→ 카드 관리와 점수 반영까지 대기 전략으로 진행

🔹 4/15 – 카드 잔액 반영

  • 올크레딧: 856점 상승

  • 1금융권 조회 요청 → 4곳 승인 조건 확인

그중 가장 좋은 조건이었던 아래의 조건으로 즉시 신청하였고 정상 실행 완료되었습니다

  • 4690만원

  • 7.64%

  • 120개월 상환

이후 저축은행 햇살론도 확인했는데 신청 후 즉시 송금 처리 완료되었습니다.

  • 1500만원

  • 9.38%

  • 60개월 조건

4️⃣ 최종 결과 – 채무 13건 중 10건 정리 + 월 납입금 절반 절감

  • 기존 소액 은행채무 → 컨설팅 후 완납 처리

  • 월 납입금 절반 이상 줄어듦

  • 채무 건수 13건 → 3건으로 감소

  • 컨설팅 기간: 약 20일

  • 신용점수 개선

    • 나이스: 791점

    • 올크레딧: 748점

    • 추가 반영 예정 시 추가 상승 가능


✅ 핵심 요약 포인트

  • 외국계 은행에서 시작된 채무 → 2금융권 및 저축은행으로 확산

  • 13건의 채무 + 학자금 채무 4건 포함

  • 신용카드 돌려막기 직전 → 통대환 컨설팅으로 구조 정리

  • 1금융권 + 햇살론 활용 → 전액 저금리 통합

  • 채무 건수 및 월 납입금 대폭 감소, 신용도 회복


💡

채무통합이 필요한 사례

  • 채무 건수가 너무 많아서 감당이 어려우신가요?

  • 신용점수가 낮고, 연체 직전 상황이신가요?

  • 어디에도 승인되지 않아 불안한 마음이 드시나요?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습니다. 무료 상담으로 당신의 가능성부터 확인해보세요.

부채통합대출 고금리 다중채무 정리하는 방법직장인 통대환 8천만원 일반법인 후기 성공사례여성 직장인 채무통합 대환대출 사용 사례

Share article